Language

안양 인덕원 컴팩트시티 복합환승시설

위치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
연도
2025.02
규모
지하 6층, 지상 45층
연면적
194,997.19㎡(용지1) / 158,414.77㎡(용지2)
용도
복합시설
수상
 

NODESCAPE
도시 연계 클러스터를 만드는 관계지향형 도시
인덕원 컴팩트시티는 주변 도시들과의 상호작용을 강화하며, 부족한 문화, 상업, 주거 인프라를 보완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비즈니스 호텔, 컨벤션센터, 창업 지원 시설 등을 통해 기업 성장을 지원합니다. 인덕원 컴팩트시티는 안양, 의왕, 과천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차점으로서, 주변 도시와 긴밀하게 연결된 노드 역할을 하며, WORK, LIVE, PLAY가 조화를 이뤄 입체적 도시공간을 만들어 가는 'Life Complex Platform'을 지향합니다. 또한, 4중 역세권의 입지적 장점을 극대화하고, 인덕원의 고유한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복합문화 환승시설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안합니다.

경계없이 이어지는 도시연계형 입체 컴팩트시티
입체 보행 네트워크 ‘Alley plate’는 복합 환승센터를 중심으로 도시 내 모든 거점을 연결하며, 과천 갈현지구, 의왕 포일지구, 안양 구도심 등으로 확장되어 도시 연계 클러스터를 형성합니다. 다층의 도시복합체 ‘Multi layered complex’는 입체적으로 연결된 커뮤니티 공간을 통해 사용자와 방문객의 다양한 일상을 담아내며, 도시 내 여러 기능이 조화를 이루도록 하였습니다. 복합문화 환승시설‘culture transit square’는 단순한 교통 허브를 넘어 문화와 업무가 결합된 도시공공인프라로 기능하며, 쉽고 빠른 환승과 다양한 문화 인프라를 제공하여 지속 가능한 이동 환경을 조성하도록 하였습니다.

NODESCAPE : 도시 사람, 자연을 연결하며 성장하는 도시의 마디
도시 곳곳의 노드를 연결하는 도시 그리드를 구축하여 과천, 의왕, 안양을 하나의 벨트로 잇도록 하였습니다. 도시 맥락에 맞춰 WORK, LIVE, PLAY의 프로그램들이 클러스터화되어 재조직되며, 각 프로그램은 상호 시너지를 통해 지역 경제와 문화의 중심이 될 뿐만 아니라,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공간이 되도록 하였습니다. 입체적이고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시 구조를 통해 지속 가능한 관계 지향형 도시로서 새로운 도시 연계 클러스터의 중심 노드를 형성하였습니다.

일상과 문화가 융합되는 COMMUNITY ALLEY
커뮤니티 엘리를 중심으로 일상의 경험을 확장하는 다양한 커뮤니티 공간들을 배치하여 일상과 문화가 자연스럽게 융합되도록 하였습니다. 공원으로 가는 길목에는 카페를 연계하여 문화의 소통을 촉진하고, 공연장은 생활 SOC 프로그램과 융합되어 지역 문화 행사의 장으로 계획하였습니다. 창업가를 위한 소호는 앨리플레이트와 연계되어 도시 활력을 창출하는 공간이 되며, 환승센터와 연계된 도서관은 일상 속 길이 문화로 전환되는 공간으로 융합하였습니다.

기업의 창의적 소통과 교류를 만드는 BIZ TRANSIT CORE
도시의 속도에 반응하여 빠른 소통과 교류를 위한 거점 오피스, 비즈팟, 접견실, 다이렉트 미팅 플랫폼 등이 층별로 특화된 조닝계획과 인공지능 기반의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적용하여 창의적 소통과 교류를 촉진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플랫폼을 형성하였습니다.

일상이 문화가 되는 CULTURE TRANSIT CORE
단순히 환승을 위한 공간이 아니라, 공간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연계 계획을 통해 통합정거장에서 도서관, 소호, 컨벤션으로 이어지는 층별 테마를 구성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교류의 기회와 우연한 만남이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는 라이프스타일 컬처플랫폼으로 계획되며, 환승 시설 내에서 일상이 문화가 되는 차별화된 이동 경험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전환하였습니다.